실제 우리가 Control 할 수 있는 MCU 회로도

LQFP64 패키지라고 나와있네요.

 

64핀짜리라 한번에 그리기 힘들었던 모양인지 U5A, U5B 2블럭으로 나눠놨습니다.

(실제로는 용도 별로 나눔)

 

딱 봐도 U5A 블럭은 Pheripheral 용 PIN / U5B는 파워쪽 핀으로 구성되어 있네요.

 

여기서 사용하는 MCU 는 STM32F103RB 제품이고, 말했듯이 64핀 패키지 제품입니다~

당연하겠지만 데이터 시트의 핀 번호와 같은 걸 볼수 있네요.

 

첨부한 핀 맵대로 CubeMX를 통해서 핀번호 세팅을 해준 모양입니다.

핀 맵 설정은 나중에 다뤄보겠습니다.

PIN-MAP.pdf
0.14MB

 

일단 U5A 왼쪽의 Pin을 빼놓은 부분은 Direct로 연결 안해 놓고, 용도별로 분류하거나,  MCU 바꾸거나 뭐 그럴때 유용한데

신경안써도 됩니다.

 

보아하니 기본적으로 USART 통신 x1 / PA13,PA14 = SWD로 사용하고 있고 32.768 RTC가 기본적으로 달려있네요.

 

PC13은 PIN-MAP에는 TAMPER-RTC라고 되어있는데, 그냥 GPIO로 쓰나봅니다.

 

추후에 CubeIDE를 써서 코딩을 하게 되면 다시 뭔가 추가 될 예정.

 

'Nuclio B'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도(F103RB_MM1136) 분석 3/3  (0) 2025.05.29
회로도(F103RB_MM1136) 분석 1/3  (0) 2025.05.26

MOSFET은 4가지로 구분된다.

 

*MOSFET 타입 예시

N-CH E-MOSFET N채널 / 증강형 → 기본 OFF, +V로 켜짐
P-CH E-MOSFET P채널 / 증강형 → 기본 OFF, –V로 켜짐
N-CH D-MOSFET N채널 / 공핍형 → 기본 ON, –V로 꺼짐
P-CH D-MOSFET P채널 / 공핍형 → 기본 ON, +V로 꺼짐 (거의 안 씀)

 

동작하는 모드에 따라서 Enhancement / Depletion으로 나뉘는데 별 내용은 없다.

동작 방식 Enhancement (증강형) Depletion (공핍형)
기본 상태 OFF ON
게이트 전압 역할 채널 형성 (켜짐) 채널 축소 (꺼짐)
용도 디지털 회로, 스위치 아날로그 회로, 정전류 회로

 

대부분 사용하는 건 Enhancement 형태를 사용한다.

처음에는 막혀있다가 Gate에 적절한 전압이 걸리면 변화가 생겨서 통로가 생기는 구조다. 

 

E-MOSFET으로만 생각해보기로 한다.

P, N은 생각하지말고 심볼만 보면 끊어져있는 형태인 것을 알수 있다.

= 아무것도 안하면 OPEN

 

이제 P와 N을 개입시켜 생각해자.

 

N-ch E-type MOSFET으로 알아보자.

 

N-ch E-MOSFET은 N형 반도체끼리 Short가 나야지 전류가 흐르게 되는 구조다.

P형(+) 반도체를 밀어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Vgate > 0 전압을 가해주면 되겠다.

 

하지만 실상은 이것보다 조금 더 복잡한 형태다. 

Vgs​>0 VgVs>0 Vg>Vs로 게이트 전압이 소스 전압보다 커야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간단 뇌피셜~ 왜 Vgs냐?

결국은 Vgate 전압으로 채널을 만들면 Source에서 Drain으로 전자를 끌어가야한다!

 

(전류 방향 Drain -> Source) Drain에 양전압이 걸리고, 만들어진 채널으로 전류가 흘러야하는데

전류는 흐르기 쉬운 곳으로 흐르는데 Gate 전압이 Source 전압보다 낮으면,, 전류가 Source쪽으로 흐를까요?

 

+ 최소한의 Vth = 게이트 생성 문턱 전압 이상의 크기는 가져야 함.

 

이제 실제 P-ch E -MOSFET을 알아보자.

 

STS9P3LLH6 제품인데, 당연히 처음은 꺼져 있고, VGS < 0 인 경우에 도통된다.

Vgs(th) 부분이 -1V~-2V 사이가 걸리게 되면 도통된다.

 

이새끼들 그리기가 귀찮았나.. P MOS 기준으로 뒤집어서 보란다..ㅋㅋ;

 

MOSFET.pdf
4.53MB

 

'소자 및 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C 시정수  (0) 2025.05.30
Charger IC에 대해서  (1) 2025.05.30
NTC 써미스터  (0) 2025.05.29
리튬 이온 배터리 와 PCM 보호 회로  (0) 2025.05.29
BJT와 MOSFET의 차이  (0) 2025.05.29

Nuclio B'd F103RB 회로도 분석

 

STM32F103RB 가 내장된 제품으로 외부 ST-LINK 없이 FW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U_Connectors = MCU의 IO Block

U_ST_LINK = SWD / RST 

U_MCU_64 = MCU의 Ports

 

EV5 = External 5V in / U5V = USB 5V in

일반적인 경우 USB Power를 사용하기 때문에 JP5는 1-2 연결 필요

 

확대해서 보자면..

 

 MOSFET에 대한 설명 : https://zits456shkwon.tistory.com/4

STS9P3LLH6(P-ch MOSFET, Vgs < 0 = Vg  <Vs 일 때, 도통)

Vgs(th) < -1  = Vg < Vs -1 이면 도통되는 소자이다.

 

PWR_ENn은 nagative일때 동작한다는 의미로, High(3V3), Low(0V)일 거다.

 

PWR_ENn이 Low : Vg = 0[V]  < Vs - 1 = 4[V] : 도통

PWR_ENn이 High : Vg = 3.3[V] < Vs -1 = 4[V] : Vth을 못 넘어서 차단

PWR_ENn이 Tri : Vg = 5.0[V] < Vs -1 = 4[V] : 차단(동작 없음)

 

이런식으로 스위치가 열린 형태나 다름없어진다.

 

Tri State: https://m.blog.naver.com/tnrgus1113/221285294069

 

즉 정상적으로 ST_Link가 low를 내줄 때에만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뒤에는 단순히 3V3 고정형 LDO를 사용하여 전압을 3.3V로 내려준다.

 

LDO란?:

 

VDD = 3V3 다음 챕터에 계속..

 

 

 

 

DATASHEET.pdf
0.88MB

 

schematic.pdf
1.25MB

 

 

 

'Nuclio B'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도(F103RB_MM1136) 분석 3/3  (0) 2025.05.29
회로도(F103RB_MM1136) 분석 2/3  (0) 2025.05.28

구분 덕목 설명 예시
기술적 역량 회로 설계 능력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이해 및 설계 가능 Op-amp 기반 센서 증폭 회로나, MCU 기반 제어 회로 설계 가능해야 함
  디버깅 역량 오실로스코프, 로직애널라이저, JTAG 등 장비 사용 능숙 전압 드롭 이슈 파악, SPI 통신 에러 확인 시 파형 분석
  펌웨어 이해도 하드웨어와 펌웨어 연동 구조 이해 및 협업 가능 타이머 설정이 안 맞아 PWM 파형 이상 발생 → FW 수정 연동 가능해야
문제 해결력 원인 분석력 복잡한 시스템에서 버그나 오작동 원인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 정전기 이슈로 간헐적 리셋 발생 → 보호 회로 및 PCB 개선 제안
  트러블슈팅 경험 실현장 문제를 빠르게 해결해본 경험 SMT 불량으로 인한 전류 누설 → 현장 재납땜 조치 + 부품 개선 요청
업무 협업력 소통 능력 펌웨어 개발자, 기구설계자, 생산팀 등과 협업 필요 기구팀과 PCB 간섭 조정, 생산팀과 공정 피드백 공유
  문서화 역량 설계 문서, 회로 설명, BOM 작성 등을 명확히 할 수 있어야 함 이 회로는 왜 이런 구조인지?” 질문 시, 명확하게 문서화 가능해야
현실감각 제조/양산 고려 비용, 납기, 생산성 등 실제 양산 조건을 고려한 설계 0.1mm 좁은 패턴 → 생산성 떨어짐 → DFM 관점에서 수정
  부품 수급 대응 대체 부품 제안, 시장 상황 대응 역량 MLCC 수급 이슈 발생 → Footprint 호환 가능한 대체안 즉시 제안
성실성과 태도 꼼꼼함 사소한 실수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 (핀 번호 하나, 부품 값 하나) 1핀 반대로 납땜하면 전원 망가짐… 부품 방향 항상 재확인
  꾸준한 학습 전자 부품, 규격, 신기술 변화에 꾸준히 적응해야 함 GaN FET 도입, EMC 대응 회로 학습, JEDEC 규격 숙지 등

 

✅ 왜 Firmware 경험이 HW 엔지니어에게 중요한가?

이유 설명
1. 디버깅 효율 증가 펌웨어 흐름을 이해하면 디바이스의 동작 이상 원인을 빠르게 파악 가능 → HW/FW 경계 문제도 스스로 좁힐 수 있음
2. MCU/SoC 설계에 강함 SPI, I2C, UART 같은 통신 핀 설계 시, 실제 FW 설정과 매칭을 고려해 더 실용적인 설계 가능
3. 협업력 향상 FW 개발자와 의사소통이 훨씬 원활 → 사양 정의서 작성, 테스트 자동화 등에서도 주도적 역할 가능
4. 작은 회사/스타트업에서 강점 HW + FW 겸업 가능성이 높은 조직에서는 멀티 역량이 필수
5. 경력직 채용에서 차별화 “HW만 하는 사람”은 많지만, HW+FW 모두 이해하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희소 → 채용 우선순위 상승 가능

 

🎯 어느 정도 수준의 Firmware 경험이면 좋은가?

수준 예시
🔹 기본 GPIO 제어, UART 송수신, I2C 디바이스 제어 등 기본 Peripheral 사용
🔸 중급 RTOS 환경에서 센서 제어, BLE 모듈 초기화 등 시스템 제어
🔺 고급 Bootloader 작성, 펌웨어 OTA 업데이트, 메모리 매핑/버스 설정 등

 

✅ “공장 라인이 돌아가는 순서도를 직접 만들어 적용해본 경험”의 핵심 가치는?

가치 설명
시스템 이해 능력 단순한 회로 수준이 아닌, 제품이 제조되고 동작하는 전체 흐름을 설계하고 반영한 경험
현장 최적화 감각 단순한 이상적인 설계가 아니라, 공장에서 실제로 잘 돌아가는 프로세스를 만들 줄 아는 실무 감각
크로스팀 협업 제조팀, 품질팀 등과 협력하며 라인 적용까지 고려한 설계자로서 역량 증명
문제 예방형 설계 초기 설계 시부터 불량률, 작업자 혼동, 자동화 이슈를 고려함으로써 리워크 방지 기여
자동화/효율화 마인드 수동 공정을 체계화하거나 자동화로 바꾸려는 시도는 요즘 제조업에서 매우 환영받는 태도

'시스템 엔지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아날로그 설계에 관해서  (0) 2025.05.30
[필수]알아야 할 전자 주제들  (0) 2025.05.29
덕목 - 회로 설계 능력  (0) 2025.05.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