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공급파워쪽이면 그냥 잘 만든 거 가져다 쓰는게 마음 편한것 같다.

'시스템 엔지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수]알아야 할 전자 주제들  (0) 2025.05.29
덕목 - 회로 설계 능력  (0) 2025.05.26
HW 엔지니어가 필요한 자질  (0) 2025.05.26
Subject Description
R, L, C 정의, Digital/RF 회로에서의 역할 등  
RC 시정수, LC필터(LPF, HPF, BPF) 
Diode Diode 동작원리 및 종류별 적용 회로 구분
BJT NPN,PNP 동작 원리, 응용회로(스위칭 회로, 증폭기 회로(CE,CB,CC))
FET MOSFET 동작원리, 응용회로
Resonator, Oscillator Crystal 외에 Ceramic 제품 등을 포함하여 회로에서의 역할 및 설계에 관한 사항
External CAP 계산 방법.
Switching Regulator Buck, Booster, Buck-booster 회로분석
Linear Regulator Switching / Linear Regulator 상황별 적용 자재 선정.
Load Switch Load switch 회로 이해.
Architecture / Register ARM core 구조, Register 종류
ADC / DAC  
GPIO Push-Pull or Open-Drain 경우 회로 구성.
Timer/Counter PWM / Interrupt 
I2C 파형 측정 및 파라미터 비교
SPI 파형 측정 및 파라미터 비교
UART  파형 측정 및 Debug port 이용.
SDIO 파형 측정 및 파라미터 비교
I2S  
USB  
RAM SRAM, DRAM 등 종류 및 특징, 설계 관련 사항
ROM NOR, NAND, eMMC 등 종류 및 특징, 설계 관련 사항
LCD 파형 측정 및 파라미터 비교
OLED 파형 측정 및 파라미터 비교

'시스템 엔지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아날로그 설계에 관해서  (0) 2025.05.30
덕목 - 회로 설계 능력  (0) 2025.05.26
HW 엔지니어가 필요한 자질  (0) 2025.05.26

구분 덕목 설명 예시
기술적 역량 회로 설계 능력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이해 및 설계 가능 Op-amp 기반 센서 증폭 회로나, MCU 기반 제어 회로 설계 가능해야 함
  디버깅 역량 오실로스코프, 로직애널라이저, JTAG 등 장비 사용 능숙 전압 드롭 이슈 파악, SPI 통신 에러 확인 시 파형 분석
  펌웨어 이해도 하드웨어와 펌웨어 연동 구조 이해 및 협업 가능 타이머 설정이 안 맞아 PWM 파형 이상 발생 → FW 수정 연동 가능해야
문제 해결력 원인 분석력 복잡한 시스템에서 버그나 오작동 원인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 정전기 이슈로 간헐적 리셋 발생 → 보호 회로 및 PCB 개선 제안
  트러블슈팅 경험 실현장 문제를 빠르게 해결해본 경험 SMT 불량으로 인한 전류 누설 → 현장 재납땜 조치 + 부품 개선 요청
업무 협업력 소통 능력 펌웨어 개발자, 기구설계자, 생산팀 등과 협업 필요 기구팀과 PCB 간섭 조정, 생산팀과 공정 피드백 공유
  문서화 역량 설계 문서, 회로 설명, BOM 작성 등을 명확히 할 수 있어야 함 이 회로는 왜 이런 구조인지?” 질문 시, 명확하게 문서화 가능해야
현실감각 제조/양산 고려 비용, 납기, 생산성 등 실제 양산 조건을 고려한 설계 0.1mm 좁은 패턴 → 생산성 떨어짐 → DFM 관점에서 수정
  부품 수급 대응 대체 부품 제안, 시장 상황 대응 역량 MLCC 수급 이슈 발생 → Footprint 호환 가능한 대체안 즉시 제안
성실성과 태도 꼼꼼함 사소한 실수가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 (핀 번호 하나, 부품 값 하나) 1핀 반대로 납땜하면 전원 망가짐… 부품 방향 항상 재확인
  꾸준한 학습 전자 부품, 규격, 신기술 변화에 꾸준히 적응해야 함 GaN FET 도입, EMC 대응 회로 학습, JEDEC 규격 숙지 등

 

✅ 왜 Firmware 경험이 HW 엔지니어에게 중요한가?

이유 설명
1. 디버깅 효율 증가 펌웨어 흐름을 이해하면 디바이스의 동작 이상 원인을 빠르게 파악 가능 → HW/FW 경계 문제도 스스로 좁힐 수 있음
2. MCU/SoC 설계에 강함 SPI, I2C, UART 같은 통신 핀 설계 시, 실제 FW 설정과 매칭을 고려해 더 실용적인 설계 가능
3. 협업력 향상 FW 개발자와 의사소통이 훨씬 원활 → 사양 정의서 작성, 테스트 자동화 등에서도 주도적 역할 가능
4. 작은 회사/스타트업에서 강점 HW + FW 겸업 가능성이 높은 조직에서는 멀티 역량이 필수
5. 경력직 채용에서 차별화 “HW만 하는 사람”은 많지만, HW+FW 모두 이해하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희소 → 채용 우선순위 상승 가능

 

🎯 어느 정도 수준의 Firmware 경험이면 좋은가?

수준 예시
🔹 기본 GPIO 제어, UART 송수신, I2C 디바이스 제어 등 기본 Peripheral 사용
🔸 중급 RTOS 환경에서 센서 제어, BLE 모듈 초기화 등 시스템 제어
🔺 고급 Bootloader 작성, 펌웨어 OTA 업데이트, 메모리 매핑/버스 설정 등

 

✅ “공장 라인이 돌아가는 순서도를 직접 만들어 적용해본 경험”의 핵심 가치는?

가치 설명
시스템 이해 능력 단순한 회로 수준이 아닌, 제품이 제조되고 동작하는 전체 흐름을 설계하고 반영한 경험
현장 최적화 감각 단순한 이상적인 설계가 아니라, 공장에서 실제로 잘 돌아가는 프로세스를 만들 줄 아는 실무 감각
크로스팀 협업 제조팀, 품질팀 등과 협력하며 라인 적용까지 고려한 설계자로서 역량 증명
문제 예방형 설계 초기 설계 시부터 불량률, 작업자 혼동, 자동화 이슈를 고려함으로써 리워크 방지 기여
자동화/효율화 마인드 수동 공정을 체계화하거나 자동화로 바꾸려는 시도는 요즘 제조업에서 매우 환영받는 태도

'시스템 엔지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냥 아날로그 설계에 관해서  (0) 2025.05.30
[필수]알아야 할 전자 주제들  (0) 2025.05.29
덕목 - 회로 설계 능력  (0) 2025.05.26

+ Recent posts